대전교구

대한성공회 대전교구

 

대한성공회 대전교구 홈페이지를 방문하신 모든 영혼 위에 하느님의 크신 은총과 축복이 함께하시기를 기도드립니다.

대한성공회는 초대 주교인 고요한 주교(Charles John Corfe)가 영국 웨스트민스터 대성당에서 켄터베리 대주교로부터 주교 서품을 받은 후 1890년 9월 29일 인천항에 도착하면서 그 역사가 시작됩니다. 선교 초기에는 서양 문화를 강조하기보다 한국 문화를 존중하여 한옥으로 성당을 설립하여 토착화에 바탕을 두었습니다. 당시 한옥으로 지어진 성당 중 현재까지 남아 있는 성당은 서울교구 소속의 강화읍성당과 온수리성당, 대전교구 소속의 진천성당과 청주수동성당이 문화재로 남아 있습니다.

대한성공회 대전교구는 1965년 첫 한인 주교인 이천환 주교가 성품 된 후 서울과 대전으로 교구를 분리하여 현재까지 충청도, 전라도, 대전시, 세종시, 강원도 일부 지역 등 대한성공회 3개 교구 중 가장 넓은 지역을 관할하고 있으며, 제8대 교구장인 김호욱 디도 주교를 중심으로 활발한 선교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성공회가 다소 생소한 교단이지만 성공회는 전 세계 160개국 이상이 관구와 교구의 형태로 분포되어 있으며, 로마가톨릭과 정교회를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교단입니다. 또한 성공회는 교회의 일치를 위해 노력하며, 중용(中庸, Via Media)의 신앙을 바탕으로 오늘 날 에큐메니칼 운동에 큰 공헌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공회 신앙의 특징은 1888년 람베스 회의에서 결의된 간략하고도 명확한 신앙 기준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구약과 신약 66권을 하느님의 계시된 말씀으로 받아들인다.
  2. 초대교회의 신앙고백인 사도신경과 니케아신경을 통해 신앙을 고백한다.
  3. 세례와 성찬례를 그리스도께서 제정하신 성사로 받아들인다.
  4. 교회의 직제로 초대교회로부터 내려오는 주교, 사제, 부제의 세 성직을 받아들인다.

 

이상의 4개 조항에 동의한다면 성공회는 어떤 교파라도 협력의 관계를 이룰 수 있습니다.